에코백
'나는 플라스틱 가방이 아니다' 라며 싼 가격에 나왔던 천가방.
아마 에코백의 친환경적인 역할을 각종 매체에서 한 번씩은 들어보셨을 것이고, 각종 행사 때마다 증정품으로 나오던 것을 받아보신 경험이 있을 겁니다.
제 집에도 사은품으로 받아온 에코백만 3개 되는 것 같습니다.
에코백이 오늘날 대중들 사이에 많이 퍼진 이유
에코백이 만들어질 때 주로 사용되는 것은 천연 면과 천, 컨버스 재질입니다.
비닐이나 가죽가방이 주를 이루던 시기에 천연 면 등의 재료를 사용하며 에코백은 동물보호와 재생 가능함, (비닐과 다르게) 자연분해가 쉬움을 사람들에게 어필했죠.
에코백을 구성하는 재질들은 기존 가죽가방들에 비해 가볍고, 들고 다니기 좋고, 실용적이었습니다. 그리고 가격이 굉장히 저렴했고, 각종 옷들처럼 디자인도 천차만별로 찍어낼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대중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고, 그로 인해 빠르게 대중화 되어갔습니다.
이처럼 에코백은 이쁘고, 가격이 저렴하고, 들고 다니기 편하며, 친환경적인 가방이다(비닐봉지 사용을 줄이기 위해, 그리고 동물 가죽을 사용하지 않은, 재사용할 수 있는 천 가방을 들자)라는 것을 어필하여 전 세계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아왔습니다. 이것만 보면 참 장점이 많은 친구입니다.
실제로 동물에 해가 되지 않고, 일회용 비닐 대신 여러 번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분명 환경적으로 도움이 되기는 합니다만, 그렇다면 우리는 에코백이 나온 취지에 맞게 에코백을 몇 번 써야 비닐봉지에 비해 친환경적으로 뽕(?)을 뽑을 수 있을까요?
각 포장 가방이 미치는 환경 영향들
2011년 영국 환경청에서 포장가방들의 수명 주기 평가를 진행한 적이 있습니다.
종이봉투는 비닐보다 쉽게 썩는 면은 환경적으로 장점이지만, 만들어질 때 비닐보다 더 많은 자원이 들어가기 때문에 여러 가지를 고려한다면 적어도 3번은 써야 비닐봉지를 사용할 때보다 환경 영향이 적다고 합니다.
목화로 만들어진 에코백은 석유로 비닐을 만드는 것보다 훨씬 어렵고, 환경 비용이 많이 들게 됩니다(목화 재배에 상당한 양의 에너지와 토지, 비료 및 살충제가 필요하고 제품화 과정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되고 물이 오염될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적어도 131번은 사용해야 일회용 비닐봉지보다 낫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고 합니다.
2018년 덴마크 환경 식품부에서도 이런 연구가 이루어졌는데, 각 포장 가방마다 만들어지면서 발생시킨 오염을 회복시키기 위해 재사용돼야 하는 횟수를 조사한 결과, 비닐봉지는 37회, 종이봉투는 43회, 면으로 된 가방(에코백)은 최소 7100회를 사용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즉 우리가 친환경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내려면, 에코백을 쓰다가 오염되면 버리고 새 것을 살 것이 아니라, 적당히 세탁하고 말려 닳을 때까지 써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게 됩니다.
우리가 가져야 할 자세
사실 에코백 텀블러 등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물건들을 친환경적인 물품으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너무 많은 공급이 일어났습니다.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이용해 여러 브랜드에서 마케팅 판촉물로도 대량 생산되고 있습니다. 환경 보호가 마케팅 수단으로 된 것이 참 안타깝습니다. 저렴하기도 하고, 공짜로 쉽게 얻을 수 있어 쉽게 버려지는 것 또한 문제이기도 합니다.
에코백을 만들 때 면화 경작 과정에 들어가는 비료와 살충제들이 온실가스 배출에서부터 수질오염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 가지를 정말 오래오래 써야 친환경적으로 유의미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에코백을 어떻게 소비하느냐를 결정하는 것은 소비자의 몫이지만, 적어도 친환경을 생각하여 소비를 택하신 분들이라면, 이러한 점들을 아시고 튼튼한 에코백 하나 장만하셔서 오래오래 잘 쓰시는 방향으로 가시는 게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잡다한 정보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세계 기록 유산들 (0) | 2020.06.18 |
---|---|
33도 이상 무더위 시작! 폭염 시 행동 요령 (2) | 2020.06.10 |
코로나 19로 인한 에어컨 사용 시 주의사항 (0) | 2020.05.31 |
행복주택 입주자격(자가진단 링크 포함) 및 정보 (0) | 2020.05.30 |
행복호르몬, 세로토닌(5-HT)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0.05.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