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정보글

우리나라 세계 문화 유산(세계유산)들

by 띠욜 2020. 5. 22.

우리나라 세계 문화 유산들

우리나라 세계 문화 유산들에 대해 알아봅시다.

 

우리나라의 세계 문화 유산

 

해인사 장경판전

 

1. 해인사 장경판전 (1995)

  • 국보 제52호로, 해인사에 딸린 건물의 하나입니다.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기 위해 건축된 것으로 통풍, 습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전,후면의 창호 크기를 달리하는 등 조선의 과학 기술을 엿볼 수 있는 건축물입니다.

종묘

2. 종묘 (1995)

  • 조선 왕조의 왕과 왕후들의 유교 사당으로, 사적 제 125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길고 수평적인 독특한 건축양식을 지니고 있다고 합니다.
    건물들은 정전과 영녕전으로 나뉘어져있습니다. 정전에서는 춘, 하, 추, 동과 섣달에 맞춰 5차례 제례를 지내고, 영녕전에선 춘, 추에 제례를 지낸다고 합니다.

불국사
석굴암

3. 불국사 & 석굴암(1995)

  • 불국사는 경상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위치한 조계종 소속 사찰입니다.
    불교 교리가 사원 건축을 통해 잘 형성화된 대표적 사례로 보며, 석가탑, 다보탑과 같은 많은 국보와 보물들이 있다고 합니다.
  • 석굴암은 경상북도 경주시 토함산 중턱에 있는 석굴로 국보 24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통일 신라 때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화강암 석굴이며, 벽에는 39개의 불상이 조각되어있고 중앙에 본존불상이 놓여있다고 합니다.
  • 두 유산의 공통점은 통일 신라 경덕왕 때 김대성이 조성하였다고 합니다(삼국유사)

창덕궁

4. 창덕궁 (1997)

  • 서울 특별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궁궐입니다. 경복궁의 이궁(태자궁, 세자궁의 별칭, 제2궁궐)으로 지어진 궁궐이며 임진왜란 이후 법궁(임금의 제1궁궐)의 기능을 하였습니다.

    창덕궁은 500여년 조선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임금이 거처한 궁궐입니다. 공식적으로는 경복궁이 조선의 법궁이었어나, 여러가지 꺼림직한 일들이 있었기에 여러 임금이 경복궁을 기피했고, 창덕궁이 그 자리를 대신 할 때가 많았다고 합니다.

    인조 반정으로 궁궐 대부분이 소실된 적이 있는데, 조선 인조때 (1647) 재건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인조는 후원에 여러 정자와 연못을 조성하였고, 숙종 (1704)때 대보단(임진왜란때 도와줬던 명나라의 신종황제의 제사를 지내던 곳)이 조성되었습니다.
    정조는 품계석(대궐 안 정전 안뜰에 관계품을 기록한 돌)을 세우고 후원에 부용지(연못)를 중심으로 부용정(부용이라는 말 자체가 활짝 핀 연꽃이라는 뜻, 창덕궁의 후원에 있는 정자입니다.), 주합루(책에 관련된 곳입니다. 독서를 하고 정책을 논하는 곳으로 쓰였습니다), 서향각(서책을 보관하는 장소)을 세웠습니다.

    창덕궁은 고려 시대 궁궐의 전통을 이어받아왔고, 조선 시대 궁궐의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으며, 후원의 조경은 우리나라 대표적인 왕실 정원으로 가치가 높다고 합니다.

수원 화성

5. 수원화성 (1997)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와 장안구에 걸쳐있는 길이 5.52km의 성곽입니다. 
    18세기 정조 때 지어진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성곽입니다. 군사, 행정, 상업적 기능을 담당하는 신도시의 구조를 갖췄고, 동서양의 군사 시설 이론을 잘 배합시킨 독특한 성이라고 합니다.
    정조 때 채제공이 감독하고 정약용이 설계하였으며, 세계 기록 유산인 '조선왕조 의궤'중 '화성성역의궤'가 포함되어있습니다.

화순 고인돌

6. 고창, 화순, 강화 고인돌 유적(2000)

  • 전라북도 고창군, 전라남도 화순군, 인천광역시 강화군 3개 지역에 나뉘어 위치해 있는 고인돌군입니다.
  •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장례 의식 기념물로, 선사시대의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있는 유적입니다.
    한 지역에 수백 기 이상의 고인돌이 집중 분포하고 있고, 형식의 다양성과 밀집도 면에서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어렵다고 합니다.

경주역사유적지구

7. 경주 역사 유적 지구 (2000)

  • 경주시 일대의 신라 유적, 유물들을 말합니다.
  • 월성지구, 황룡사지구, 산성지구, 남산지구, 대릉원지구 총 5개 지구로 나뉘어 있습니다.
    1. 월성지구: 계림, 월성, 임해전지, 첨성대, 내물왕릉
    2. 황룡사지구: 황룡사지, 분황사 석탑
    3. 산성지구: 명활산성
    4. 남산지구: 굉장히 많습니다. 포석정, 나정, 경주 배리 석불 입상 등등
    5. 대릉원지구: 남산지구만큼은 아니지만 꽤 됩니다. 천마총, 경주 노서리 고분군 등이 있습니다.

 조선왕릉 -광릉 혼유석과 난간석

8. 조선왕릉 (2009)

  • 조선의 역대 왕과 왕비, 추존왕들의 무덤을 총칭합니다.
  • 총 44기중 40기가 등재되어 있습니다.(북한에 있는 제렁과 후릉, 폐위된 광해군과 연산군의묘는 제외되었습니다)
  • 풍수지리적으로 길지에 입지하였으며, 배산임수의 지형에 위치해있습니다.

하회마을 (저작권자:Jordi Sanchez)

9. 한국의 역사 마을 : 하회와 양동 (2010)

  • 경상북도 안동시와 경주시에 있는 마을입니다.
    자연과 조화를 추구하는 조선의 전통 건축 양식을 잘 볼 수 있고, 집성촌을 통해 유교문화도 잘 보여줍니다. 하회는 풍산 류씨 집성촌이고, 양동은 월성 손씨와 여주 이씨의 집성촌입니다.
  • 하회는 하회탈춤이 유명하고 양동은 양반의 삶의 공간인 원형과 정신유산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남한산성

10.남한산성 (2014)

  • 경기도 광주시, 성남시, 하남시에 걸쳐있는 남한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입니다. 유사시에 임시 수도의 기능을 할 수 있게 계획하여 만든 산성으로, 병자호란 때 인조가 청나라에 대항하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고(대항하였으나 결국 항복했음), 이승만 대통령에 의해 공원화된 후 현재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많은 사람들이 찾는 장소라고 합니다.
  • 17~19세기 사이의 축성기술을 볼 수 있으며, 동아시아 도시 계획과 축성술이 교류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합니다.

고분군

11. 백제 역사 유적 지구 (2015)

  • 공주시, 부여군, 익산시에 있는 백제 관련 역사유적지구입니다.
  • 공주시는 공산성, 송산리 고분군이 있고, 부여군은 관북리 유적&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부여나성이 있고, 익산시에는 왕궁리 유적, 미륵사지가 있습니다.(총 8개)

마곡사

12.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2018)

  • 대한민국의 산사 7곳을 묶어 등재된 유네스코 세계유산입니다.
  • 산사는 사찰을 말합니다. '산사;를 구성하는 7개의 사찰은 모두 불교 신앙을 바탕으로 하여 종교활동, 의례, 강학, 수행을 지속적으로 이어왔고, 다양한 토착 신앙을 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 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가 있습니다.

병산서원 (저자: limhyungkyu)

 

13. 한국의 서원 (2019)

  • 한국의 서원은 조선 중기 이후 설립된 사설 교육기관이며, 유교의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입니다.
  • 소수서원, 남계사원, 옥산서원, 도산서원, 필암서원, 도동서원, 병산서원, 무성서원, 돈암서원이 등재되었습니다.
  • 중세 동아시아의 중요한 사상중 하나인 성리학이 조선에 퍼지면서 중국, 일본과는 다른 모습으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성리학을 지향하는 자연관과 한국 문화적 전통이 반영된 교육 유산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같이보면 좋은 글

2020/06/18 - [잡다한 정보글] - 우리나라 세계 기록 유산들

댓글